(로또 사는 아빠) 살림 하는 엄마

22년 미국 중간선거가 투자에 끼치는 영향을 고민해보자.

  • 작성 언어: 한국어
  • 기준국가: 모든 국가country-flag
  • 기타

작성: 2024-04-21

작성: 2024-04-21 09:29

짧게 다음 미국 중간선거 시점에 지금의 마음을 기억하기 위해 기록합니다.

22년 미국 중간선거가 투자에 끼치는 영향을 고민해보자.

22년 미국 중간선거 +_+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 보니 빅 이벤트에 관심을 갖게 됩니다. 저는 특히 3배 레버리지 종목들을 투자하고 있기에 작은 이슈 하나에도 크게크게 영향을 받다보니 큰 이슈에는 더 관심을 둬야 합니다. 당연하겠지만 특히 이번 미국 중간선거 결과에 따라 여러가지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기에 주목해야 합니다. 보통 중간선거의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과거와 같이 호재로 보는 것이 맞는 것 같지만 많은 안좋은 지표들이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기에 영향이 거의 없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여튼 글을 작성하고 있는 지금은 결과가 나오고 있는 시점이고 제가 한 투자는 그 결과를 온전히 책임지고 받아드려야 하기에 누가 이겼으면 하는 바램은 없습니다만, 여러가지 악재가 해소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정말 긴 시간 하향하고 있는 미국의 지수들이 반전을 할 것인가? 아니면 더 장기화될 것인가?
  • 기대로 선 반영된 주가들이 예상했던 결과까지 맞아서 폭등할 것인가? 다시 제자리로 돌아갈 것인가?
  • 이런 사실들을 종합해서 투자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맞는 것일까?


이런 궁금증들을 생각해보면 결과를 예상하고 맞추는 것이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다보니 내가 한 투자들이 어느 한 쪽으로 배팅을 하는 도박과 같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씁쓸하지만 지금의 이 기록이 다음 미국 중간선거 시점에 저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번에는 이 문구를 마음에 품어 봅니다.

절대 어느 한 쪽으로 배팅하는 마음으로 투자하지 말자.

댓글0

미국 대선 이후 바뀐 중단기적 관점의 시장에 대한 몇 가지 생각들 [ft. 미증시 고점은 약간 더 뒤로?]미국 대선 이후 시장 전망 변화에 대한 분석 글입니다. 트럼프 당선 후 미국 증시가 예상보다 더 상승했고, 인플레 우려는 적다는 내용입니다. 저자는 미국 증시 고점이 더 높아지고 장기 하락장 시작이 앞당겨질 가능성을 제기하며, 국내 부동산 시장도 주의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2024년 11월 9일

거세지는 연준의 연속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ft 불 스티프닝 vs 베어 스티프닝]미국 연준의 연속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시장은 고용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12월뿐 아니라 1월에도 금리 인하를 예상하며, 내년 미국 경기침체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2025년 불 스티프닝 가능성이 커지고 있으며, 국내외 증시 모두 유의해야 합니다.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2024년 12월 10일

국내 증시 다시 털썩, 현 미국 증시의 내러티브는 침체도, 물가지수도 아닌 ‘시장금리’미국 증시의 시장금리 상승 우려로 국내 증시가 급락했습니다. 코스피는 1.31%, 코스닥은 2.84% 하락 마감했으며, 삼성전자 등 주요 종목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트럼프 트레이드 등으로 인한 금리 상승 가능성이 국내 증시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Track the Market"

2024년 10월 23일